본문 바로가기
IT/PYTHON

4. 자료형

by 제밍 2022. 11. 7.

format

1. 문자열.format()

  • 문자열의 대괄호 자리에 format 뒤의 괄호안에 들어있는 값을 하나씩 넣는다
  • 문자열에 포함된 대괄호 개수 보다 format안에 들어 있는 값의 수가 많으면 정상 동작
    • print('{} 번 손님'.format(number,greeting))
  • 문자열에 포함된 대괄호 개수 보다 format안에 들어 있는 값의 수가 적으면 에러
    • print('{} 번 손님 {}'.format(number))
number = 20
welcome = '환영합니다'
base = '{} 번 손님 {}'

#아래 3개의 print는 같은 값을 출력
print(number,'번 손님',welcome)
print(base.format(number,welcome))
print('{} 번 손님 {}'.format(number,welcome))
#=>20 번 손님 환영합니다

 

 

2. ' 또는 "로 문자열 만들기

  • ' 또는 "로 글의 양쪽을 감싸면 문자열로 인식
  • '로 감싼 문자열 안에는 "를 쓸 수 있다.
  • "로 감싼 문자열 안에는 '를 쓸 수 있다.
  • string1 = '따옴표로 싼 문자열 안에는 큰따옴표(")를 사용할 수 있다.'
    string2 = "큰따옴표로 싼 문자열 안에는 따옴표(')를 사용할 수 있다."
    

따옴표/큰따옴표 3개로 문자열 만들기

  • 줄 바꿈도 인식 가능
  • 따옴표와 큰따옴표를 섞어 쓸 수 있다. (단, ' " ' 이런건안됨. 통일해서 써야!)
  • string3="""줄도 바꾸고
    큰따옴표"와 따옴표'를 마음대로 쓸 수 있음"""

 

3. 정수와 실수

3- 1 )정수

  • 영어로 integer, 줄여서 파이썬에서는 int라고 표현
  • 정수끼리 더하거나 곱하거나 빼면 정수
  • 정수끼리 나누면 실수가 나올 수 있으나, 나눗샘의 몫만을 구하려면 //연산자를 이용
div1 = 6 / 5    # div = 1.2
div2 = 6 // 5   # div = 1

3- 2) 실수

  • 부동소수점이라는 표현법을 이용해 소숫점을 표시할 수 있는 숫자
  • 어느정도의 계산 정확도는 가지지만, 계산에 있어서 완벽한 정확성은 가지지 않는다.
  • 0.1+0.1+0.1 == 0.3 #FALSE
    
  • 정수를 실수로 바꾸려면 float를 사용
    • a=float(5)라고 하면 a는 5.0을 값으로 가지게 된다.

 

4.사용자 입력 받기

4- 1 ) 프로그래밍의 3단계

  • 사용자 입력
  • 자료 처리
  • 결과 출력

4- 2) input()

  •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을 return
  • print('가위 바위 보 중 하나를 내주세요> ', end = ' ')
    mine = input()
    print('mine:', mine)
    
  • 간단한 print기능을 내장
  • mine = input('가위 바위 보 중 하나를 내주세요> ')
    print('mine:', mine)
    

4- 3) Ctrl + c

프로그램 즉시 종료

'IT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. for 반복문  (0) 2022.11.07
5. 리스트  (0) 2022.11.07
3. 함수  (0) 2022.11.04
2. 조건문  (0) 2022.11.04
1. 변수와 계산  (0) 2022.11.03